Thôi Chí Viễn: Bổ An Nam Lục Dị Đồ Ký 崔致远:補安南錄異圖記 (Đang dịch dở)

 Học giả Thôi Trí Viễn (857-?) (崔致遠 - 최치원 - Choe Chiwon), một người Triều Tiên du học và làm quan thời nhà Đường, đã viết sách "Bổ An Nam lục dị đồ ký" (補安南錄異圖記) vào năm 882. Sách "Bổ An Nam lục dị đồ ký" của ông viết về các vấn đề địa lý, phong tục ở An Nam đô hộ phủ. Đây có lẽ là quyển sách cổ nhất mà người Triều Tiên viết về Việt Nam. (Wiki)

崔致遠:補安南錄異圖記 - 崔致远:补安南录异图记
Thôi Chí Viễn: Bổ An Nam Lục Dị Đồ Ký - 안남녹이도를 보충한 글
Ghi chép bổ sung vào lục dị đồ An Nam

(繁體 - 简体 - Hán Việt - 한국어 - Tiếng Việt) 

1. 交趾四封。圖經詳矣。然而管多生䝤。境邇諸蕃。略採俚譚。用標方誌。
交趾四封,图经详矣。然而管多生獠,境迩诸蕃,略采俚谭,用标方志。
Giao Chỉ tứ phong , đồ kinh tường hĩ . nhiên nhi quản đa sinh lão , cảnh nhĩ chư phiền , lược thải lý đàm , dụng tiêu phương chí .
교지(交趾)의 사방 봉강(封疆)은 도경(圖經)에 상세히 보인다. 그런데 관내에는 생료(生䝤) [註P161-001] 가 많고, 국경은 제번(諸蕃) [註P161-002] 과 가깝다. 그래서 대략 민간에 전하는 그 지역의 이야기를 모아서 부문별로 상세히 기록해 보고자 한다.
Giao chỉ bốn bề rộng rãi, các sách địa lý đã nêu rõ ràng. Tuy nhiên phần đông dân cư sống hoang dã, bờ cõi gần các bộ tộc vùng biên. Nay chắt lọc nói sơ lược để nêu về địa lý.

Chú thích
[註P161-001]생료(生䝤) : 옛날 중국의 성읍(城邑)에 들어와 정착하지 않은 요인(䝤人)의 멸칭(蔑稱)이다. 요(䝤)는 지금의 광동(廣東), 광서(廣西), 호남(湖南), 사천(四川), 운남(雲南), 귀주(貴州) 등 중국 남방 지역에 분포되어 있던 부족의 이름으로, 요(僚)라고도 한다.
生䝤 (生獠): Sinh liêu- chỉ dân cư không sống ở các khu thành (thị dân). 獠 Liêu là từ vốn chỉ các tộc người phân bố ở khu vực phía Nam Trung Quốc như Quảng Đông, Quảng Tây, Tứ Xuyên, Vân Nam, Quý Châu.
[註P161-002]제번(諸蕃) : 변경 근처에 산재하는 부족의 통칭이다.
諸蕃 (诸蕃): Chư phiên - chỉ các bộ lạc sống rải rác khu vực biên giới


2. 安南之爲府也。巡屬一十二郡 峯驩演愛陸長郡諒武定武安蘇茂虞林 羇縻五十八州。府城東至南溟四百餘里。有山橫亘千里而遙。邃穴深巖。爲䝤窟宅。
安南之为府也,巡属一十二郡(峰、驩、演、爱、陆、长郡、谅、武定、武安、苏、茂、虞林),羁縻五十八州,府城东至南溟四百馀里,有山横亘,千里而遥,邃穴深岩,为獠窟宅。
An Nam chi vi phủ dã , tuần thuộc nhất thập nhị quận ( phong, hoan, diễn, ái, lục, trường quận, lượng , vũ định, vũ an, tô, mậu, ngu lâm) ki mi ngũ thập bát châu , phủ thành đông chí nam minh tứ bách dư lý , hữu sơn hoành cắng , thiên lý nhi diêu , thúy huyệt thâm nham , vi lão quật trạch .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는 12개 군(郡) - 봉(峯), 환(驩), 연(演), 애(愛), 육(陸), 장군(長郡), 양(諒), 무정(武定), 무안(武安), 소(蘇), 무(茂), 우림(虞林) - 을 거느리고, 58개 주(州)를 관할한다.
부성(府城) 동쪽에서 남쪽으로 바다까지 400여 리(里)요, 산이 천리(千里)에 가로 걸쳐서 멀리 벋어 있다. 깊숙한 암혈(巖穴)은 요인(䝤人)이 거주하는 곳이다. 
An Nam là phủ (An Nam đô hộ phủ), có 12 quận (Phong, Hoan, Diễn, Ái, Lục, Trường Quận, Kinh, Vũ Định, Vũ An, Tô, Mậu, Ngu Lâm), kiểm soát 58 châu. Từ phía Đông  của phủ này đến bể Nam là hơn 400 dặm, có núi non nằm ngang, ngàn dặm xa xôi, hang sâu vách thẳm, là nơi cư ngụ của các tộc người.


3. 蠻蜑之衆六種。星居隣諸蕃二十一區。管生䝤二十一輩。水之西南則通闍婆大食之國。陸之西北則接女國烏蠻之路。曾無亭堠。莫審塗程。跂履者計日指期。沈浮者占風定信。
蛮蜑之众,六种星居。邻诸蕃二十一区,管生獠二十一辈。水之西南则通阇婆、大食之国,陆之西北则接女国、乌蛮之路,曾无亭堠,莫审涂程。跂履者计日指期,沉浮者占风定信。
Man đản chi chúng , lục chủng tinh cư . lân chư phiền nhị thập nhất khu , quản sinh lão nhị thập nhất bối . Thủy chi tây nam tắc thông đồ bà, đại thực chi quốc , lục chi tây bắc tắc tiếp nữ quốc 、 ô man chi lộ , tằng vô đình hậu , mạc thẩm đồ trình . kỳ lý giả kế nhật chỉ kỳ , trầm phù giả chiêm phong định tín,
만단(蠻蜑)의 무리 여섯 종족이 분산해서 거주하는데, 제번 21개 구역과 이웃하면서, 생료 21개 부락을 관할하고 있다. 물의 서남쪽은 사바(闍婆) [註P161-003] 와 대식(大食) [註P161-004] 의 나라로 통하고, 육지의 서북쪽은 여국(女國) [註P161-005] 과 오만(烏蠻) [註P161-006] 으로 가는 길과 접해 있다. 그동안 정후(亭堠) [註P161-007] 가 없었기 때문에 노정(路程)은 자세히 알 수가 없다. 발로 다니는 사람은 날짜를 헤아려 기한을 정하고, 배를 타고 다니는 사람은 바람 기운을 점쳐서 약속을 정한다.
Cộng đồng người có 6 chủng sống rải rác. Các bộ tộc vùng biên lân cận có 21 khu. Vùng nước phía Tây Nam thông đến nước Xà Bà và Đại Thực. Trên đất liền, hướng Tây Bắc tiếp giáp Nữ Quốc, đường Ô Man, chưa có vọng gác nên chưa biết rõ đường đi lối lại. Người đi đường bộ thì thì đếm ngày tính thời gian, người đi đường thuyền thì đoán gió hẹn nhau.

Chú thích
[註P161-003]사바(闍婆) : 사바바달(闍婆婆達)의 준말로, 지금의 인도네시아 경내에 있던 섬나라 이름이다. 사바달(闍婆達)이라고도 한다.
Xà Bà (闍婆): Nói tắt của tên Xà Bà Bà Đạt (Saba Badal) (闍婆婆達), là tên một quốc đảo ngày nay thuộc nước Indonesia, còn có tên là Xà Bà Đạt Savadal (闍婆達).
[註P161-004]대식(大食) : 당나라 때에 사라센 제국을 일컫던 말로 보통 쓰이지만, 여기서는 중국 남해에 있던 섬나라를 지칭한다. 《신당서(新唐書)》 권222하 〈남만열전 하(南蠻列傳下) 가릉(訶陵)〉에 “대식국의 임금이 듣고 황금을 자루에 담아 교외에 놓았더니 행인들이 피하였다.〔大食君聞之 齎金一囊置其郊 行者輒避〕”라는 말이 나오고, 《송사(宋史)》 권489 〈외국열전(外國列傳) 사바(闍婆)〉에 “바다로 5일 항해하면 대식국에 이른다.〔汎海五日至大食國〕”라는 말이 나온다.
Đại Thực (大食) : thường dùng chỉ đế chế Saracen (trải dài từ Syria đến Ả Rập Xe út ngày nay), tuy nhiên ở đây dùng chỉ 1 đảo quốc ở biển Đông. 
Tân Đường Thư (新唐書) cuốn 222 (訶陵) phần 2, Nam Man liệt truyện hạ (南蠻列傳下) có ghi: 
〔大食君聞之 齎金一囊置其郊 行者輒避〕
Đại Thực quân văn chi tư kim nhất nang trí kỳ giao hành giả triếp tị
Tống sử cuốn 489, phần Ngoại quốc liệt truyện (外國列傳) có ghi từ biển Xa bà đi thuyền buồm 5 ngày đến nước Đại Thực 〔汎海五日至大食國〕
[註P161-005]여국(女國) : 여성 임금이 다스리는 나라라는 뜻으로, 수당(隋唐) 때 서남쪽 지역에 있던 부족 이름인데, 강족()의 일파로 전해진다.
Nữ quốc ý chỉ một nước do phụ nữ làm vua, đó là tên một bộ lạc ở miền Tây Nam thời Tùy và Dường, được cho là 1 nhánh của người Khương (羌族)
[註P161-006]오만(烏蠻) : 중국 서남쪽 지역의 만족(蠻族) 이름이다. 《신당서》 권222 〈남만열전 상(南蠻列傳上) 남조 상(南詔上)〉에, 남조는 오만의 별종(別種)이라는 말이 나온다.
[註P161-007]정후(亭堠) : 변경에 적의 동태를 감시하기 위해 설치한 초소를 말한다. 정후(亭候)라고도 한다.


4. 二十一國鷄犬傳聲。服食所宜。大較相類。管內生䝤。多號山蹄。或被髮鏤身。或穿胸鑿齒。詭音嘲哳。姦態睢盱。
二十一国鸡犬传声,服食所宜,大较相类。管内生獠,多号山蹄,或被发镂身,或穿胸凿齿,诡音嘲哳,奸态睢盱。
Nhị thập nhất quốc kê khuyển truyện thanh , phục thực sở nghi , đại giác tương loại . quản nội sinh lão , đa hào sơn đề , hoặc bị phát lũ thân , hoặc xuyên hung tạc xỉ , quỷ âm trào triết , gian thái tuy hu.
21개 나라는 닭과 개의 소리가 서로 들리고, 의복과 음식의 습성도 대개는 서로 비슷하다. 관내(管內)의 생료는 흔히 산제(山蹄)라고 부른다. 머리를 풀어 헤치기도 하고 문신(文身)을 하기도 하며, 가슴을 뚫고〔穿胸〕 [註P161-008] 이를 뾰족하게 갈기도 한다.〔鑿齒〕 그리고 괴상한 소리를 내며 조잘거리기도 하고, 간교한 눈빛으로 노려보기도 한다
21 khu tiếng gà tiếng chó có thể truyền tiếng cho nhau, đồ ăn mặc 

Chú thích
[註P161-008]가슴을 뚫고 : 《회남자(淮南子)》 〈지형훈(墬形訓)〉에, 해외 36국 가운데 천흉민(穿胸民)의 이름이 나오는데, 한(漢)나라 고유(高誘)가 “천흉은 가슴 앞에서 등까지 구멍을 뚫는 것이다.〔穿胸 胸前穿孔達背〕”라고 해설하였다.


5. 其中尤異者。臥使頭飛。飮於鼻受。豹皮裹體。龜殼蔽形。擣木絮而爲裘。䝤子多衣木皮。熟擣有如纖纊。 編竹苫而作翅。生養則夫妻代患。長成則父子爭雄。
其中尤异者,卧使头飞,饮于鼻受,豹皮裹体,龟壳蔽形。捣木絮而为裘(獠子多衣木皮,熟捣有如纤纩),编竹苫而作翅。生养则夫妻代患,长成则父子争雄。
Kỳ trung vưu dị giả , ngọa sử đầu phi , ẩm vu tị thụ , báo bì khỏa thể , quy xác tế hình . đảo mộc nhứ nhi vi cừu ( lão tử đa y mộc bì , thục đảo hữu như tiêm khoáng ) , biên trúc thiêm nhi tác sí . sinh dưỡng tắc phu thê đại hoạn , trường thành tắc phụ tử tranh hùng .
그중에 더욱 기이한 것은 누워서 머리를 날려 보내고, 코로 음료를 받아 마시는 것이다. [註P161-009] 그들은 표범 가죽으로 몸을 감싸기도 하고, 거북 껍데기로 몸을 가리기도 하며, 나무를 두들겨 솜처럼 만들어서 몸에 두르기도 하고, - 요자(䝤子)는 흔히 나무껍질로 옷을 해 입는데, 껍질을 많이 두들겨서 얇은 솜처럼 만든다. - 대쪽으로 자리를 엮어 그 위에서 살기도 한다. [註P161-010] 자식을 낳아 기를 때에는 부부가 번갈아 보살피고, 일단 장성하면 부자가 자웅을 겨룬다.

Chú thích
[註P161-009]누워서 …… 것이다 : 남만(南蠻)의 풍속으로 전해 오는 이른바 두비비음(頭飛鼻飮)의 전설을 말하는데, 《한서(漢書)》 권64하 〈가연지전(賈捐之傳)〉과 진(晉)나라 간보(干寶)의 《수신기(搜神記)》 권12와 진(晉)나라 왕가(王嘉)의 《습유기(拾遺記)》 권9 등에 그 내용이 나온다. 머리를 날린다는 것은, 몸에서 머리를 분해하여 다른 곳으로 날아가게 했다가 다시 돌아와 어깨 위에 붙게 하는 술법을 말한다.
[註P161-010]대쪽으로 …… 한다 : 참고로 송(宋)나라 주거비(周去非)가 지은 《영외대답(嶺外代答)》 권10 〈만속(蠻俗)〉에 “만족들은 대쪽이나 띠풀로 자리를 엮어 2층을 만든 뒤에, 위에서는 자기들이 거처하고 아래에는 닭과 돼지를 키우는데, 이를 마란이라고 한다.〔編竹苫茅爲兩重 上以自處 下居鷄豚 謂之麻欄〕”라는 내용이 나온다.


6. 縱時有傳譯可通。亦俗無桑蠶之業。唯織雜彩狹布。多披短襟交衫。或有不縫而衣。不粒而食。死喪無服。嫁娵不媒。戰有排刀。病無藥餌。
纵时有传译可通,亦俗无桑蚕之业。唯织杂彩狭布,多披短襟交衫。或有不缝而衣,不粒而食,死丧无服,嫁娶不媒,战有排刀,病无药饵。
Túng thì hữu truyện dịch khả thông , diệc tục vô tang tàm chi nghiệp . duy chức tạp thải hiệp bố , đa phi đoản khâm giao sam . hoặc hữu bất phùng nhi y , bất lạp nhi thực , tử tang vô phục , giá thú bất môi , chiến hữu bài đao , bệnh vô dược nhị.
때로는 통역(通譯)이 있어야만 의사를 소통할 수 있다. 또 그곳의 풍속은 뽕을 먹여 누에를 기를 줄은 알지 못한 채, 그저 잡색(雜色)의 좁은 베를 짜서, 소매가 짧은 얼룩무늬 옷을 많이 입는다. 더러는 꿰매지 않고 그냥 몸에 걸치기도 하고, 더러는 탈곡(脫穀)을 하지 않고 먹기도 한다. 사람이 죽어도 상복을 입는 일이 없고, 시집 장가갈 때에도 중매하는 사람이 없다. 싸울 때에는 배도(排刀)를 쓰고, 병들어도 약을 쓰지 않는다.


7. 固恃險阻。各稱酋豪。遠自漢朝。迄于隋季。荐興邊患。頗役遐征。馬將軍標柱歸時。寸分地界。史摠管倒碑過後。略靜海隅。
固恃险阻,各称酋豪。远自汉朝,迄于隋季,荐兴边患,颇役遐征。马将军标柱归时,寸分地界;史总管倒碑过后,略静海隅。
cố thị hiểm trở , các xưng tù hào . viễn tự hán triêu , hất vu tùy quý , tiến hưng biên hoạn , pha dịch hà chinh . mã tương quân tiêu trụ quy thì , thốn phân địa giới ; sử tổng quản đảo bi quá hậu , lược tĩnh hải ngung.
그들은 지세(地勢)가 험조(險阻)한 것만을 굳게 믿고서 각기 추호(酋豪)라고 일컫고 있다. 멀리 한(漢)나라 때로부터 수(隋)나라 말기에 이르기까지 변경에서 자주 환란을 일으켜 자주 원정(遠征)하는 일을 벌이곤 하였다. 마 장군(馬將軍)이 기둥을 세우고 돌아오면서 땅의 경계가 조금 분정(分定)되었고, [註P161-011] 사 총관(史摠管)이 비석(碑石)을 넘어뜨리고 지나간 뒤로 해변이 약간 안정되었다. [註P161-012]

Chú thích
[註P161-011]마 장군(馬將軍)이 …… 분정(分定)되었고 : 후한(後漢)의 복파장군(伏波將軍) 마원(馬援)이 교지국(交趾國)을 원정(遠征)한 뒤에, 두 개의 구리 기둥〔銅柱〕을 세워서 한(漢)나라와 남방 외국의 경계선(境界線)을 표시한 것을 말한다. 《後漢書 卷24 馬援列傳》
[註P161-012]사 총관(史摠管)이 …… 안정되었다 : 수(隋)나라 행군총관(行軍摠管) 사만세(史萬歲)가 남녕(南寧) 만이(蠻夷) 찬완(爨翫)의 반란을 평정하던 도중에 제갈량(諸葛亮)의 공적을 기록한 비석을 보았는데, 그 뒷면에 “만세 뒤에 나보다 나은 자가 여기를 지나갈 것이다.〔萬歲後 勝我者過此〕”라고 새겨 있었다. 이에 사만세가 좌우로 하여금 그 비석을 쓰러뜨리고 진격하게 했다는 기록이 전한다. 《北史 卷73 史萬歲列傳》


8. 洎咸通初。驃信挺災。元戎喪律。鴟嘯於跕鳶之地。豕豗於束馬之塗。摧兇欲快於摏喉。拯溺唯思於援手。
洎咸通初,骠信挺灾,元戎丧律。鸱啸于跕鸢之地,豕豗于束马之涂。摧凶欲快于摏喉,拯溺唯思于援手。
Kịp hàm thông sơ , phiếu tín đĩnh tai , nguyên nhung tang luật . si khiếu vu thiếp diên chi địa , thỉ hôi vu thúc mã chi đồ . tồi hung dục khoái vu thung hầu , chửng nịch duy tư vu viên thủ.
그러다가 함통(咸通) [註P161-013] 초년에 이르러 표신(驃信) [註P161-014] 이 재변을 일으켰는데 원융(元戎)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자, 솔개가 떨어지던 땅 [註P161-015] 에 올빼미가 모여들듯 하고, 말의 발을 감싸는 길 [註P161-016] 에 멧돼지가 내달리듯 하였다. 그래서 목을 짓찧어 죽였던 것 [註P161-017] 처럼 통쾌하게 흉적을 무찔러야 했고, 손을 내밀어 건지는 것 [註P161-018] 처럼 구원할 방책을 생각해야만 했다.

Chú thích
[註P161-013]함통(咸通) : 당 의종(唐懿宗)의 연호(860~873)이다.
[註P161-014]표신(驃信) : 남만의 왕의 별칭이다. 남만 제국(諸國)의 왕이 “자칭 표신이라고 하는데, 그들의 말로 임금이라는 뜻이다.〔自稱驃信 夷語君也〕”라는 기록이 보인다. 《新唐書 卷222中 南蠻列傳中 南詔下》
[註P161-015]솔개가 떨어지던 땅 : 무더운 남만(南蠻) 지역을 가리킨다. 마원(馬援)이 교지국을 정벌할 때, “무더운 날씨에 독한 장기(瘴氣)가 풍겨 나와 솔개가 하늘을 날다가 물 위로 툭툭 떨어졌다.〔下潦上霧 毒氣熏蒸 仰視鳥鳶跕跕墮水中〕”라는 고사가 전한다. 《東觀漢記 馬援》
[註P161-016]말의 …… 길 : 미끄러지지 않도록 말의 발을 천으로 감싸야 할 길이라는 말로, 지나가기 어려운 험한 산길을 비유하는 말이다.
[註P161-017]목을 …… 것 : 《춘추좌씨전》 문공(文公) 11년의 “노나라가 함에서 적을 격파하고 장적의 군주인 교여를 사로잡았는데, 부부종생이 창으로 그의 목을 짓찧어 죽였다.〔敗狄于鹹 獲長狄僑如 富父終甥 摏其喉以戈 殺之〕”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Tả truyện có chép chuyện năm thứ 11 đời Lỗ Văn Công (năm 616 TCN) Quân Sưu Mang xâm phạm nước Tần và nước Lỗ, Lỗ Văn Công thử bói xem nếu phái Thúc Tôn Trang Thúc (còn gọi Thúc Tôn Đắc Thần) đi đánh đuổi thì sao. Bói được quẻ cát nên phái Thúc Tôn Trang Thúc đi, quả nhiên thắng lợi. Bắt được tên cầm đầu là Kiều Như, rồi dùng mác đâm vào cổ giết. “鄋瞞侵齊。遂伐我。公卜使叔孫得臣追之,吉。侯叔夏禦莊叔,綿房甥為右,富父終甥駟乘。冬十月甲午,敗狄於咸,獲長狄僑如。富父終甥摏其喉以戈.
[註P161-018]손을 …… 것 : 《맹자》 〈이루 상(離婁上)〉의 “천하가 허우적이면 도로써 건져 주고, 제수가 허우적이면 손을 내밀어 건져 준다.〔天下溺 援之以道 嫂溺 援之以手〕”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Sách Mạnh Tử có đoạn đối đáp với Mạnh Tử thế này: 男女授受不亲,礼与?Nan nữ đưa nhận đồ không chạm tay có phải là điều lễ nghĩa phải như vậy không. 礼也。Là điều lễ nghĩa phải như vậy. 嫂溺,则援之以手乎? Vậy khi chị dâu đuối nước thì có đưa tay giúp không. 嫂溺不援,是豺狼也。男女授受不亲,礼也;嫂溺,援 之以手者,权也。 Chị dâu đuối nước mà không giúp thì là giống sài lang rồi, theo lễ nghĩa thì nam nữ không động chạm nhưng chị dâu đuối nước, người đưa tay giúp, đó là sự ứng biến. 今天下溺矣,夫子之不援,何也?Giờ thiên hạ đều đắm đuối cả rồi, phu tử lại không cứu giúp. 天下溺,援之以道;嫂溺,援之以手——子欲手援天下 乎?Thiên hạ đuối nước, thì lấy đạo để cứu giúp, chị dâu đuối nước, lấy tay để cứu giúp, chẳng lẽ muốn ta dùng tay đi cứu thiên hạ sao?

9. 先帝以今淮海太尉燕公。威宣大漠。政洽上都。時公防禦秦城。剗平醜虜。才歸輦下。出鎭安南。 乃請出鎭龍編。立身豹略。剗彫題而卵碎。活黔首以肌豐。復壁壘於一麾。拔封疆於萬里。有蠹皆削。無冤不伸。朱道古稔姦於外。杜存凌恣虐於內。皆爲安南巨患。公乃誅滅無遺。故褚令公遂良竄歿日南。子孫彫零。公時表洗雪。 
先帝以今淮海太尉燕公,威宣大漠,政洽上都(时公防御秦城,刬平丑虏,才归辇下,出镇安南),乃请出镇龙编,立身豹略,刬雕题而卵碎,活黔首以肌丰。复壁垒于一麾,拔封疆于万里。有蠹皆削,无冤不伸(朱道古稔奸于外,杜存凌恣虐于内,皆为安南巨患。公乃诛灭无遗,故禇令公遂良窜殁日南,子孙雕零,公时表洗雪)
Tiên đế dĩ kim hoài hải thái úy yến công , uy tuyên đại mạc , chính hiệp thượng đô ( thì công phòng ngữ tần thành , sản bình xú lỗ , tài quy liễn hạ , xuất trấn an nam ) , nãi thỉnh xuất trấn long biên , lập thân báo lược , sản điêu đề nhi noãn toái , hoạt kiềm thủ dĩ cơ phong . phức bích lũy vu nhất huy , bạt phong cương vu vạn lý . hữu đố giai tước , vô oan bất thân ( chu đạo cổ nhẫm gian vu ngoại , đỗ tồn lăng tứ ngược vu nội , giai vi an nam cự hoạn . công nãi tru diệt vô di , cố 禇 lệnh công toại lương thoán một nhật nam , tử tôn điêu linh , công thì biểu tẩy tuyết).
선제(先帝)께서는 지금 회해 태위(淮海太尉)인 연공(燕公) [註P161-019] 의 위엄이 대막(大漠 광대한 사막 지대)에까지 떨쳐지고 정적(政績)이 상도(上都) [註P161-020] 에까지 미친 점을 감안하시어, - 이때 공은 진성(秦城)을 방어하며 오랑캐를 평정하고 도성으로 돌아오자마자 안남(安南)에 출정하였다. - 용편(龍編) [註P161-021] 에 출진(出鎭)하여 뛰어난 전공(戰功)을 세우도록 부탁하셨다.
이에 공은 조제(彫題) [註P161-022] 를 무찔러 새알을 부수듯 하였고, 검수(黔首) [註P161-023] 를 살려 내어 살이 통통히 찌게 하였다. 한 번 지휘하여 벽루(壁壘)를 수복하고, 만리 멀리 봉강(封疆)을 탈환하였다. 나라를 좀먹는 자들은 모조리 제거하고, 억울한 자들의 원한은 풀어 주지 않은 것이 없었다. - 주도고(朱道古)는 밖에서 간악한 짓을 자행하고, 두존릉(杜存凌)은 안에서 제멋대로 포학하게 굴어, 모두 안남의 큰 걱정거리가 되었는데, 공이 모조리 죽여 없애었다. 그리고 예전에 저 영공 수량(褚令公遂良)이 일남(日南)으로 귀양 가서 죽고 자손들이 몰락하였는데, 공이 그때 표문(表文)을 올려서 억울함을 씻어 주었다. -

Chú thích
[註P161-019]연공(燕公) : 연국공(燕國公)에 봉해진 고변(高騈)을 가리킨다.
[註P161-020]상도(上都) : 지금의 내몽고(內蒙古) 지역에 해당하는 난하(灤河) 북안(北岸)의 개평부(開平府)를 말한다. 원(元)나라 때 대도(大都)인 연경(燕京)과 병칭하여 양도(兩都)로 일컬어졌다.
[註P161-021]용편(龍編) : 교주(交州) 용편현(龍編縣)을 가리키는데, 보통 교지(交趾)의 별칭으로 쓰인다.
[註P161-022]조제(彫題) : 이마에 무늬를 새겨 넣었다는 뜻으로, 남만(南蠻)을 지칭한다.
[註P161-023]검수(黔首) : 검은 두건을 머리에 둘렀다는 뜻으로, 일반 백성을 가리킨다.


10. 然後使電母雷公。鑿外域朝天之路。山靈水若。偃大洋沃日之波。安南經岝口。天威神功所開。播在遠邇。 遂得絶蠻諜之北窺。紆漢軍之南戍。
然后使电母雷公,凿外域朝天之路;山灵水若,偃大洋沃日之波(安南经岝口天威,神功所开,播在远迩)。遂得绝蛮谍之北窥,纡汉军之南戍。
Nhiên hậu sử điện mẫu lôi công , tạc ngoại vực triêu thiên chi lộ ; sơn linh thủy nhược , yển đại dương ốc nhật chi ba ( an nam kinh 岝 khẩu thiên uy , thần công sở khai , bá tại viễn nhĩ ) . toại đắc tuyệt man điệp chi bắc khuy , hu hán quân chi nam thú . 
그런 뒤에 번개 귀신과 천둥 귀신으로 하여금 외역(外域)에서 중국에 조회(朝會)하는 길을 뚫게 하였고, 산신령과 물귀신으로 하여금 햇빛을 가리는 대양(大洋)의 거센 파도를 잠재우게 하였다. - 안남은 작구(岝口)와 천위(天威)의 길 [註P161-024] 을 경유하는데, 귀신의 공력으로 개통되었다고 원근에 소문이 퍼졌다. - 그리하여 마침내 만이(蠻夷)의 첩자(諜者)가 북쪽을 엿보는 길을 끊어 버리고, 중국 군대가 남쪽을 지키는 수고를 덜 수 있게 되었다.

Chú thích
[註P161-024]작구(岝口)와 천위(天威)의 길 : 참고로 《계원필경집》 권17 〈시를 헌정하면서 올린 글〔獻詩啓〕〉에 〈천위경(天威徑)〉과 〈작구경(岝口徑)〉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11. 乃鳳傳徵詔。鷁泛歸程。至於洞䝤海蠻。莫不醉恩飽義。遠投聖闕。請建生祠。則知善政所行。殊方可誘。旣見馬如羊而不取。縱令蟻若象而何虞。足以驗四夷之時或不賓。九牧之任不得所也。
乃凤传征诏,鹢泛归程,至于洞獠海蛮,莫不醉恩饱义,远投圣阙,请建生祠。则知善政所行,殊方可诱。既见马如羊而不取,纵令蚁若象而何虞。足以验四夷之时或不宾,九牧之任不得所也。
Nãi phượng truyện trưng chiếu , nghịch phiếm quy trình , chí vu động lão hải man , mạc bất túy ân bão nghĩa , viễn đầu thánh khuyết , thỉnh kiến sinh từ . tắc tri thiện chính sở hành , thù phương khả dụ . ký kiến mã như dương nhi bất thủ , túng lệnh nghĩ nhược tượng nhi hà ngu . túc dĩ nghiệm tứ di chi thì hoặc bất tân , cửu mục chi nhâm bất đắc sở dã.
공이 이내 징소(徵召)하는 황상(皇上)의 명을 받들고 배를 띄워 귀로(歸路)에 오르니, 동굴 속의 요인(䝤人)과 바닷가의 만이(蠻夷)들이 모두 공의 은혜와 의리에 감격한 나머지, 멀리 대궐에 글을 올려 생사(生祠)를 세울 것을 건의하기까지 하였다. 선정(善政)을 행하면 풍속이 다른 지방도 교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를 통해 알 수 있다. 말이 양과 같아도 취하지 않음을 이미 보였으니, 개미가 코끼리와 같다고 한들 무슨 걱정이 있겠는가. [註P161-025] 사방의 오랑캐가 간혹 복종하지 않는 것은 구주(九州)의 목민관(牧民官)이 제대로 임무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임을 확인할 수 있다.

Chú thích
[註P161-025]말이 …… 있겠는가 : 고변(高騈)이 청렴한 자세로 안남(安南)의 백성들을 감화시켰으니, 독기를 내뿜으며 사람을 해치는 남만(南蠻) 지방이라 하더라도 앞으로 걱정할 것이 없으리라는 말이다. 후한(後漢)의 장환(張奐)이 안정(安定)의 속국도위(屬國都尉)로 있을 때, 강족(羌族) 사람들이 그의 은덕에 감복하여 20필(匹)의 말과 8매(枚)의 금기(金器)를 바치니, 장환이 “가령 말이 양과 같이 작다 해도 내 마구간에 들이지 않을 것이요, 금이 곡식 낱알과 같이 작다 해도 내 품에 들이지 않을 것이다.〔使馬如羊 不以入廐 使金如粟 不以入懷〕”라고 하고는 모두 돌려준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卷65 張奐列傳》 또 남쪽 지방에는 코끼리처럼 큰 붉은 개미와, 조롱박처럼 검은 벌〔赤蟻若象 玄蜂若壺〕이 독을 쏘아 사람을 죽이기도 한다는 말이 전국 시대 송옥(宋玉)이 지은 〈초혼(招魂)〉에 나온다.


12. 有柔遠軍從事吳降嘗集是圖。名曰錄異。叙云。久觀遐蕃。目擊殊形。手題本事。然則信以傳信。斯焉取斯 缺 閱前詞。退而嘆曰。愚之所以爲異者。其諸異乎人之所異。
有柔远军从事吴降尝集是图,名曰《录异》,叙云:久观遐蕃,目击殊形,手题本事。然则信以传信,斯焉取斯。既阅前词,退而叹曰:愚之所以为异者,其诸异乎人之所异,
Hữu nhu viễn quân tòng sự ngô hàng thường tập thị đồ , danh viết 《 lục dị 》 , tự vân : cửu quan hà phiền , mục kích thù hình , thủ đề bản sự . nhiên tắc tín dĩ truyện tín , tư yên thủ tư . ký duyệt tiền từ , thối nhi thán viết : ngu chi sở dĩ vi dị giả , kỳ chư dị hồ nhân chi sở dị , 
유원군(柔遠軍) [註P161-026] 의 종사(從事)인 오강(吳降)이 이 도경(圖經)을 편집하여 〈녹이(錄異)〉라고 이름 붙이고는, 서술하기를 “내가 오랫동안 먼 곳에서 번족(蕃族)을 관찰하며 이상한 광경을 목격하고서 내 손으로 이 사실을 기록하였다.”라고 하였다. 그러고 보면 확실한 것을 후대에 확실히 전한 것〔信以傳信〕이니, [註P161-027] 이 사람이 달리 어디에서 이러한 것을 취했겠는가.〔斯焉取斯〕 [註P161-028] 그런데 나는 앞의 내용을 열람하고 나서 물러 나와 탄식하기를 “내가 기이하게 생각하는 것은 사람들이 기이하게 생각하는 것과는 다르다.”라고 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Chú thích
[註P161-026]유원군(柔遠軍) :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에 소속된 군진(軍鎭)으로, 당 덕종(唐德宗) 정원(貞元) 7년(791)에 설치되었다.
[註P161-027]확실한 …… 것이니 : 《춘추(春秋)》 환공(桓公) 5년에 “봄 정월 갑술 기축에 진후 포가 죽었다.〔春正月 甲戌 己丑 陳侯鮑卒〕”라고 하였는데, 《곡량전(穀梁傳)》에 “어찌하여 죽은 날짜를 두 개나 기록하였는가. 《춘추》의 원칙을 보면, 사건이 확실한 것은 확실하게 기록해서 전하고 의심되는 것은 의심되는 대로 기록해서 전하기 때문이다.〔卒何爲以二日卒之 春秋之義 信以傳信 疑以傳疑〕”라는 말이 나온다.
[註P161-028]이 …… 취했겠는가 : 《논어》 〈공야장(公冶長)〉의 공자가 제자 자천(子賤)을 군자답다고 칭찬하면서 “노나라에 군자가 없었다면 이 사람이 달리 어디에서 이러한 일을 취했겠는가.〔魯無君子者 斯焉取斯〕”라고 한 말을 발췌한 것이다.

13.曰六合之內。何物則棄。至如鼠肉萬斤。鰕鬚一丈。旣知南北所産。永釋古今之疑。則彼獸性群分。鳥聲類聚。誠不足異也。頃太尉燕公受三顧恩。用六奇計。使獷悍歸服。邊陲晏然。今聖上省方。蒙王獻款。不敢弄吠堯之口。永能除猾夏之心。
曰六合之内,何物则弃。至如鼠肉万斤,鰕鬓一丈,既知南北所产,永释古今之疑。则彼兽性群分,鸟声类聚,诚不足异也。顷太尉燕公受三顾恩,用六奇计,使犷悍归服,边陲晏然。今圣上省方,蒙王献款,不敢弄吠尧之口,永能除猾夏之心。
Viết lục hợp chi nội , hà vật tắc khí . chí như thử nhục vạn cân , hà 鬂 nhất trượng , ký tri nam bắc sở sản , vĩnh thích cổ kim chi nghi . tắc bỉ thú tính quần phân , điểu thanh loại tụ , thành bất túc dị dã . khoảnh thái úy yến công thụ tam cố ân , dụng lục kỳ kế , sử quánh hãn quy phục , biên thùy yến nhiên . kim thánh thượng tỉnh phương , mông vương hiến khoản , bất cảm lộng phệ nghiêu chi khẩu , vĩnh năng trừ hoạt hạ chi tâm.
이 우주(宇宙) 안에 무슨 물건인들 없겠는가. [註P161-029] 쥐의 고기 무게가 1만 근(斤)이나 나가고, [註P161-030] 새우 수염의 길이가 1장(丈)이나 되는 것 [註P161-031] 에 대해서도, 이미 남쪽과 북쪽의 특산물이라는 것을 알아내어, 고금(古今)의 의혹을 길이 풀게 되었다. 그러고 보면 위와 같이 짐승의 성질을 지닌 무리들이 흩어져 살고, 새소리처럼 주절대는 부류들이 모여 사는 것쯤이야 실로 기이하게 생각할 것이 못 된다.

Chú thích
[註P161-029]무슨 물건인들 없겠는가 : 대본에는 ‘何物則棄’로 되어 있는데, 《동문선(東文選)》 권64 〈보안남녹이도기〉에 의거하여 ‘棄’를 ‘無’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註P161-030]쥐의 …… 나가고 : 북방의 두꺼운 빙하(氷河) 아래 흙속에 계서(磎鼠)라는 동물이 사는데, 모양은 쥐와 같고 초목을 먹으며 고기 무게가 1000근이나 나간다는 내용이 《신이경(神異經)》 〈북황경(北荒經)〉에 나온다. 또 《유설(類說)》 권23 서중만근(鼠重萬斤) 조에는, 이 동물이 얼음만을 먹고 초목은 먹지 않으며 무게가 1만 근이나 나간다고 되어 있다.
[註P161-031]새우 …… 것 : 삼국 시대 오(吳)나라 등수(滕修)가 광주 자사(廣州刺史)로 있을 적에, 어떤 사람이 1장(丈) 되는 새우가 있다고 말하자 그 말을 믿지 않았는데, 그 사람이 동해(東海)에 가서 수염의 길이가 4, 5척(尺) 되는 새우를 잡아서 등수에게 보여 주자 그때에야 신복(信服)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山堂肆考 卷225 封示鰕鬚》


14. 皆由燕公收交州鎭蜀郡。威振於犇魑走魅。功成於金壘湯池。所謂蘊先見之能。察未來之事。呼吸而陰陽不測。指蹤而神鬼交馳。實爲天工人其代之。斯實可爲異矣。聊補所闕。敢貽將來。時翠華幸蜀之三載也。
皆由燕公收交州,镇蜀邵,威振于奔魑走魅,功成于金垒汤池。所谓蕴先见之能,察未来之事,呼吸而阴阳不测,指踪而神鬼交驰。实为天工,人其代之,斯实可为异矣。聊补所阙,敢贻将来。时翠华幸蜀之三载也。
Giai do yến công thu giao châu , trấn thục thiệu , uy chấn vu bôn si tẩu mị , công thành vu kim lũy thang trì . sở vị 藴 tiên kiến chi năng , sát vị lai chi sự , hô hấp nhi âm dương bất trắc , chỉ tung nhi thần quỷ giao trì . thực vi thiên công , nhân kỳ đại chi , tư thực khả vi dị hĩ . liêu bổ sở khuyết , cảm di tương lai . thì thúy hoa hạnh thục chi tam tái dã .
그동안 태위(太尉) 연공(燕公)은 삼고(三顧) [註P161-032] 의 은혜를 받고 육기(六奇) [註P161-033] 의 전략을 구사하여, 사나운 오랑캐가 귀복(歸服)하게 하고, 변방 지역이 안정되게 하였다. 지금 성상이 지방을 순행(巡行)하시는 때에 몽왕(蒙王 남만의 왕)이 충성을 바치며, 감히 요(堯) 임금을 향해 입을 나불거려 짖지 못하고, 중국을 어지럽힐 마음을 영원히 버리게 된 것은, 모두 연공이 교주(交州)를 수복하고 촉군(蜀郡)을 진압하여, 달아나기에 바쁜 도깨비 같은 무리에게 위엄을 떨치고, 금성탕지(金城湯地)처럼 굳건하게 막아 내는 공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이는 이른바 선견(先見)의 능력을 깊이 쌓아 미래의 일을 살핀 것으로, 호흡하는 사이에도 음양의 조화를 헤아릴 수 없고, 한번 지휘하면 귀신도 서로 치달린다고 하는 것이니, 실로 하늘의 일을 사람이 대신 행한 것인 만큼, 이것이야말로 기이한 일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에 나름대로 빠진 부분을 보충하여 감히 후세에 전하는 바이다. 지금은 취화(翠華)가 서촉(西蜀)에 거둥하신 지 3년째 되는 해이다. [註P161-034]

Chú thích
[註P161-032]삼고(三顧) : 후한(後漢) 말에 제갈량(諸葛亮)이 남양(南陽) 융중(隆中) 땅에서 초옥(草屋)을 짓고 농사지으며 은거하고 있다가, 세 번이나 그곳을 찾아온 유비(劉備)의 정성에 감동하여 세상에 나온 이른바 ‘삼고초려(三顧草廬)’의 고사를 말한다. 《三國志 卷35 蜀書 諸葛亮傳》
[註P161-033]육기(六奇) : 육출기계(六出奇計), 즉 한(漢)나라 진평(陳平)이 고조(高祖) 유방(劉邦)을 위해 모획(謀畫)한 여섯 가지 기이한 계책이라는 말로, 승리를 보장하는 뛰어난 작전을 뜻한다. 여섯 가지 내용은 《사기(史記)》 권56 〈진승상세가(陳丞相世家)〉에 나온다.
[註P161-034]지금은 …… 해이다 : 당 희종(唐僖宗) 중화(中和) 2년(882)이라는 말이다. 희종은 광명(廣明) 1년(880)에 황소(黃巢)의 난을 피해서 서촉으로 피신했다. 취화(翠華)는 제왕의 의장(儀仗) 중에 취우(翠羽)로 장식한 기치(旗幟)나 거개(車蓋)를 가리키는 말로, 여기서는 희종의 행차를 뜻한다.



Tham khảo:
https://zh.m.wikisource.org/zh-hans/%E8%A3%9C%E5%AE%89%E5%8D%97%E9%8C%84%E7%95%B0%E5%9C%96%E8%A8%98
 https://vi.wikisource.org/wiki/B%E1%BB%95_An_Nam_l%E1%BB%A5c_d%E1%BB%8B_%C4%91%E1%BB%93_k%C3%BD
https://www.ryedu.net/hy/hyzl/201501/41718.html

Không có nhận xét nào:

Đăng nhận xét

Bài đăng phổ biến